주요 판례와 법률정보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저장매체 영장으로 휴대폰 압수의 위법 여부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4-09-27 10:08:50 조회수 80

정보처리장치, 정보저장매체 압수 영장으로 휴대폰 압수의 위법 여부

- 대법원 2024. 9. 25. 선고 20242020 (수사기관 압수에 관한 처분 취소·변경 기각결정에 대한 재항고)

<사실관계>

경찰, 피압수자(재항고인)에 대하여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수사하던 중 법원으로부터 압수할 물건정보처리장치(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등) 및 정보저장매체(USB, 외장하드 등)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정보로 기재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은 뒤, 그 압수수색영장에 의하여 재항고인 소유의 이 사건 휴대전화를 압수, 변호인이 휴대전화 압수수색의 취소를 구하는 준항고 제기사안

<원심의 판단>

원심은 이 사건 휴대전화가 압수수색영장의 압수할 물건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준항고를 기각

<관련 법리와 대법원의 판단>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구현하고자 하는 적법절차와 영장주의의 정신에 비추어 볼 때, 법관이 압수·수색영장을 발부하면서 압수할 물건을 특정하기 위하여 기재한 문언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고, 함부로 피압수자 등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확장해석 또는 유추해석을 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대법원 2009. 3. 12. 선고 2008763 판결 등 참조)

2008763, 피압수자에게 불리한 유추해석은 안됨, ‘압수장소에 보관 중인 물건이라고 기재하고 있는 것을 압수장소에 현존하는 물건으로 해석할 수 없음 (제주도지사 선거법 사건)

 

휴대전화는 정보처리장치나 정보저장매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통신매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컴퓨터, 노트북 등 정보처리장치나 USB, 외장하드 등 정보저장매체와는 명확히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휴대전화, 특히 스마트폰에는 전화·문자메시지·SNS 등 통신, 개인 일정, 인터넷 검색기록, 전화번호, 위치정보 등 통신의 비밀이나 사생활에 관한 방대하고 광범위한 정보가 집적되어 있음. 이와 같이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자정보는 컴퓨터나 USB 등에 저장된 전자정보와는 그 분량이나 내용, 성격 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으므로, 휴대전화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얻을 수 있는 전자정보의 범위와 그로 인한 기본권 침해의 정도도 크게 다름

③ 따라서 압수·수색영장에 기재된 압수할 물건에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자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영장으로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자정보를 압수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