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판례와 법률정보

임의제출된 복제USB의 원본 소유자가 참여해야 하는지(2023도3626)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1-15 10:02:41 조회수 28

임의제출된 복제USB의 원본 소유자가 참여해야 하는지 여부(20233626)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3626 (수사기관 압수처분에 대한 재항고)

<사실관계>

피고인, 청소년인 피해자와의 성교 장면이나 신체 부위를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아청 음란물을 제작, 소지하였다는 등의 아청법위반으로 기소된 사안

피해자들은 피고인의 USB에 저장되어 있던 전자정보를 피해자들 소유의 USB에 복제하여 임의제출

<원심의 판단>

피해자들이 임의제출한 USB 및 그 전자정보의 실질적 피압수자는 피고인인데 임의제출 과정에서 피고인의 참여권이 보장되지 않아 위법수집증거에 해당하고, 이에 기초하여 획득한 증거도 2차적 증거로서 증거능력이 없음 (1심과 1심 모두 무죄 판단)

<대법원의 판단>

전자정보가 제3자의 저장매체에 복제되어 임의제출되는 경우. 비록 복제정보와 원본정보가 완전히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복제 전자정보 생성 경위와 지배관리 상태, 복제 전자정보를 임의제출하게 된 경위, 원본 전자정보 임의제출이나 압수ㆍ수색 가능성 등 제반 사정과 전자정보 압수·수색에서 혐의사실과 무관한 전자정보의 무분별한 탐색·복제·출력 등을 방지하려는 참여권의 의의 및 기능을 종합적으로 살펴, 원본 전자정보 임의제출이 충분히 가능함에도 오직 원본 전자정보 관리처분권자의 참여를 배제할 목적으로 원본 전자정보 대신 복제 전자정보를 임의제출하는 경우 등과 같이 복제 전자정보를 임의제출하는 사람에게만 참여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현저히 부당하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정보의 동일성을 들어 복제 전자정보 임의제출자 외에 원본 전자정보 관리처분권자를 실질적 피압수자로 평가하여 참여권을 인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함

전자정보는 그 자체로는 무정형의 관념에 불과할 뿐 물리적 존재가 아니고, 복제가 용이하고 다수에게 손쉽게 전파·유통될 수 있으며, 그 보유·사용·처분·변경 등이 다수에 의하여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비경합적·비배타적 성질을 가짐, 전자정보가복제되어 유통·처분·변경되거나 여러 번 재복제되더라도 원본 전자정보나 복제되기 전 단계의 정보들은 마모되거나 훼손되지 않은 채 복제된 정보와 독립하여 존재할 수 있, 이와 같은 전자정보의 특성을 고려하면, 3자가 피의자 저장매체 자체를 임의제출하는 것그 전자정보를 제3자 소유의 저장매체에 복제하여 임의제출하는 것은 적어도 그 임의제출 과정에서 보장되어야 하는 참여권의 관점에서는 동일하다고 평가할 수 없

참여권자로서의 실질적 피압수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민사법상 권리의 귀속에 따른 사후적 판단이 아니라 압수·수색 당시의 외형적·객관적인 기준에 의하여, 즉 임의제출(압수)의 직접적 대상인 당해 정보저장매체의 현실적 지배관리 상태와 그로부터 외형적·객관적으로 추단되는 저장 전자정보에 대한 관리처분권 유무를 통하여 판단하여야 함(대법원 2022. 1. 27. 선고 202111170 판결 등 참조).

원본 전자정보에 대한 관리처분권을 복제 전자정보 임의제출 시에도 참여권 인정의 근거로 새기게 되면, 무한한 복제ㆍ유통ㆍ변형ㆍ합성 등이 가능한 전자정보의 압수절차에서 일일이 원본 전자정보나 그 관리처분권자를 특정해야 할 것임.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사의 현장성·적시성·밀행성에도 어긋남

복제 전자정보가 사인(私人)이 임의로 수집, 제출한 증거로서 위법한지 여부는 전자정보 및 저장매체 임의제출(압수) 과정에서의 절차적 권리인 참여권 보장 문제와는 다른 측면에서 판단되어야 함

대법원은 위와 같은 법리를 판시하면서,

피해자들이 임의제출한 USB는 피해자들의 소유·관리에 속하는 정보저장매체로서 그 자체로는 피고인과 관련이 없는 점,

피고인이 소유·관리하는 정보저장매체는 원본 USB 뿐인데, 원본 USB는 수사기관에 임의제출되거나 압수된 바 없으므로 원본 USB에 관하여 형사소송법이 정한 참여권이나 그 참여권 인정을 위한 전제로 실질적 피압수자라는 지위를 상정하기 어려운 ,

이 사건 전자정보 등의 압수·수색(임의제출) 과정에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임의제출자인 피해자들(피압수자)에게 형사소송법이 정한 참여의 기회를 부여하면 충분, 원본 USB 소유자인 피고인을 실질적 피압수자로 보아 피고인에게까지 참여의 기회를 부여해야만 적법하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보아,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함